철도파업 중 광역전철 운행률, 평시대비 76% 수준으로 조정4일 오전 9시 정부합동수송대책본부 가동…출퇴근시간대는 85~90%로
|
우선, 철도는 노동조합법상 필수유지업무로서 철도노조 파업 때에도 일정 운행률을 반드시 유지해야 하며, 이용 수요가 많은 출퇴근 시간대의 광역전철과 KTX에 동원할 수 있는 대체인력을 집중 투입해 열차 운행률을 최대한 끌어올린다.
이를 통해 광역전철 운행률은 평시대비 76% 수준, KTX 운행률은 평시대비 67% 수준(SRT 포함 때 75% 수준)으로 운행할 계획이다.
특히, 광역전철 운행률은 이동 수요가 적은 낮 시간대에는 운행률을 줄이고, 이용객이 많은 출근시간대(오전 7~9시)에 90%(1호선 및 수인분당선 95%), 퇴근시간대(오후 6~8시)에는 85%로 운행할 계획이다.
다만, 비혼잡 시간대에는 운행률이 감소해 열차 간 운행시격이 벌어져 열차 이용이 다소 불편할 수 있으므로 평소보다 여유 있게 출퇴근하거나 버스 등 다른 교통수단 이용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코레일이 운영하지 않는 SRT, GTX-A, 인천공항철도 등은 정상 운행한다.
이어서, 대체 수송력 증강대책으로 버스는 지자체 및 버스업계 등 유관기관과 협조해 대체 버스 운행 대수를 최대한 확보할 계획이다.
파업으로 인한 열차 공급부족 좌석수를 고속·시외·시내버스 등을 통해 대체하고, 혼잡도 모니터링을 통해 추가적인 확보가 필요할 경우 고속버스, 전세버스를 추가 투입하는 등의 방식으로 대응한다.
택시는 교통혼잡이 예상되는 수도권 내 이동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파업 시작일인 이날 새벽 4시부터 파업 종료일 자정까지 각 지자체 내에서만 운행할 수 있던 서울, 인천, 경기 지역 택시들은 사업구역 외 영업을 한시적으로 허용한다.
이와 함께, 혼잡시간대 주요 KTX환승역 등에 대한 안내를 강화하고 안전요원을 집중 배치하는 한편, 필요시 경찰 등 통제인력을 배치하는 등 평시 이상으로 철도역사 내 안전 유지도 철저히 할 계획이다.
아울러, 철도안전감독관·철도경찰 등을 투입해 권역별 주요 개소 위주로 차량·시설·관제 등 안전점검을 하고, 정비 부실로 인한 사고나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도안전 확보에 힘을 모은다.
국토부는 지금이라도 철도노조가 파업계획을 철회하고 노사 간 대화를 재개해 줄 것을 거듭 촉구하면서, 국민의 안전과 교통편의 확보를 위해 파업대비 수송대책 시행에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